HOME > 신간도서 > 신간도서
 
도서명동아시아 불교의 흐름과 차문화
저자김성순ㆍ엄영욱
분류[사회]
발행일2025-02-25 판형신국판
ISBN979-11-93707-83-8 (93380)
페이지272 정가17,000원
네티즌평가 |
(총 0 명 참여)   도서정보 인쇄하기 1
  동아시아 불교의 흐름 속에서 차문화는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저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전통과 차문화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이들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조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배경은 동아시아에서 불교가 어떻게 전파되고 변형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으며, 차문화가 이러한 불교적 전통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불교와 차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저서는 동아시아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불교와 차문화 간의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후 지속되는 차문화와 차산업과의 연계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불교와 차문화는 단순한 종교적ㆍ문화적 현상을 넘어, 이 지역의 사회적 및 경제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도서소개 인쇄하기
제1장/ 한국에 온 호승(胡僧)들 / 13
― 외래포교자일까, 한국불교인일까? ―
1. 들어가는 말: 호승의 개념적 범주와 활동영역 / 13
2. 호승의 첫 번째 모습: 한국에 온 서역출신의 유행(遊行) 포교승 / 16
3. 한국불교사의 대표적 호승: 지공 / 25
4. 고려인들의 반원(反元)의식과 라마승: 호승에 대한 부정적 인식 / 32
5. 한국 문화의 일부가 된 호승들 / 39
6. 나가는 말: 호승, 그들은 한국불교인인가? / 45

제2장/ 한ㆍ중 민간 장례습속에 나타나는 망혼의 안내자들 / 48
― ‘인로계(引路鷄)’와 ‘꼭두닭’을 중심으로 ―
1. 들어가는 말 / 48
2. 망자를 피안으로 안내하는 사물들 / 50
3. 극락세계에로의 안내자: 인로계(引路鷄) / 60
4. 한국의 상여에 나타나는 꼭두닭 / 65
5. 나가는 말 / 72

제3장/깨달음과 치유를 위한 문답법 / 74
― 삿상(Satsang)과 선문답 ―
1. 들어가는 말 / 74
2. 뉴에이지의 삿상과 동아시아 불교의 선문답 / 77
3. 깨달음을 위한 가르침의 방식 / 87
4. 깨달음과 치유의 레토릭: 트랜스미션(Transmission)과 돈오견성(頓悟見性) / 99
5. 나가는 말 / 106

제4장/동아시아의 우란분절 수용에 나타난 의미의 확대와 변용 양상 / 109
―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주고받음’의 축제 ―
1. 들어가는 말 / 109
2. 한ㆍ중ㆍ일 삼국의 우란분절 / 111
3. 망자를 위한 공양으로의 확대: 천도(遷度)와 시식(施食) / 119
4. 산 자들의 축제-공양과 선물 / 130
5. 나가는 말 / 139

제5장/남송의 선승 난계도륭(蘭溪道隆)이 중세 일본에 전한 임제선 / 143
― 종교인의 망명과 새로운 종교 전파의 한 사례 ―
1. 들어가는 말 / 143
2. 13세기 남송의 정치 상황과 중국 선종 / 145
3. 난계도륭의 인생과 도일(渡日)역정 / 151
4. 난계도륭의 도일(渡日)이 일본의 선불교에 미친 영향 / 158
5. 남송의 선승과 막부: 중세 일본 임제선의 정치적 함의 / 163
6. 나가는 말 / 171

제6장/ 임제선승들이 일본불교에 전한 차문화 연구 / 173
― 남포 소명(南浦紹明)을 중심으로 ―
1. 들어가는 말 / 173
2. 남포소명(南浦紹明)의 생애와 법맥 / 175
3. 가마쿠라시대 일본의 차문화와 임제종의 선승들 / 180
4. 차와 함께 일본에 전달된 남송의 물질문화 / 189
5. 나가는 말 / 194

제7장/문화컨텐츠와 수행문화의 접점으로서의 불교의례 / 196
― 일본의 영장순례(靈場巡禮)를 중심으로 ―
1. 들어가는 말: 문화컨텐츠와 불교순례 / 196
2. 불교순례의 종교적 의미 / 198
3. 일본의 영장신앙과 산악순례 / 200
4. 일본의 관음신앙과 관음영장순례 / 205
5. 나가는 말 / 211

제8장/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중국 徑山茶宴 / 213
― ‘청규(淸規)’에서 디지털 문화관광으로의 전개 ―
1. 들어가는 말 / 213
2. 경산차연(徑山茶宴)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 / 218
3. 경산사의 다탕 의례의 변모 / 225
4. 경산차연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 232
5. 나가는 말 / 238

제9장/중국 차문화 전파 현황과 전략 연구 / 241
― 커피문화산업 발전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1. 들어가는 말 / 241
2. 중국 차 문화 산업의 발전 현황 / 244
3. 중국 커피 문화 산업의 발전 / 249
4. 중국 국내 차 문화 보급의 현존하는 문제점 / 251
5. 차 문화 확산을 위한 대응 및 개발 프로그램 / 257
6. 나가는 말 /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