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신간도서 > 신간도서
 
도서명동남아시아 화교 이민사
저자조원일
분류[인문]
발행일2025-02-25 판형신국판
ISBN979-11-93707-79-1 (93300)
페이지400 정가25,000원
네티즌평가 |
(총 0 명 참여)   도서정보 인쇄하기 1
  이 책은 동남아시아에 진출한 화교집단은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서 출국하였지만, 거주하고 있는 현지에서 자신들의 문화에 대한 우월의식을 유지하고 가족관계를 중시하는 등 현지인들과 차별화 된 자신들만의 독특한 사회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왔다. 화인들이 해외로 출국하여 삶을 도모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가정을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비록 몸은 이국땅에 머무르고 있지만 그들의 마음은 항상 본국에 있는 자신들의 가정에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늘 고향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하고 고향 지역과의 연결을 항상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대다수의 화교들은 자신들의 문화가 거주하고 있는 현지의 문화보다 훨씬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거주국 현지에서도 여전히 중국의 전통문화를 고수하며 유지하고 있었다. 그들은 해외의 거주지에서도 중국이 자신들의 조국이라고 하는 관념을 늘 가슴속에 담고 살았다. 이와 같은 문화와 관념들은 화인들이 상이한 환경과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하게 되는 선택적 행위와 환경에 적응하는 주요한 준거가 되었던 것이다.
동남아시아 화인사회의 발전사를 종합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화인들의 의식형태는 과거 조직중심주의에서 시작하여 중국인 공동체를 거쳐서 현재는 화인의식을 매우 중요시 하고 인정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각기 다른 시기의 일반적인 환경은 화인사회에 정도상의 차이가 있는 영향을 주기도 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약 3,500만 명에 이르는 화인들이 세계 곳곳에서 정착하여 자신들의 삶을 영위해나가고 있다. 이처럼 해외에 거주하는 화인들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 가장 많은 수가 분포하고 있는데, 그 수는 약 2,700만 명 정도로서 해외거주 화인 전체에서 2/3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아시아 지역에서도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결국 화인들의 이민사는 화인들의 동남아시아 이주사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화인들이 해외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시기는 육상 실크로드가 이민족들에게 의해서 막히게 되자 바닷길을 이용한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북송시기부터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대초기부터 청대말기에 이르는 시기는 대외원정과 이민족에 의한 지배 및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서 적지 않은 수의 중국인들이 해외로 이주하기도 했던 시기였다. 아울러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는 중국이 국내외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었던 시기로 수많은 중국인들이 해외로 이주했던 시기이기도 했다.
오늘날 동남아시아 지역의 경제를 장악하고 있는 화교들의 경제력은 많은 국가들이 그들의 자본을 유치하기 위하여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인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현지에서 뿌리를 내리고 또 어떤 방법으로 해당지역의 경제를 장악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분석은 현재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한국교민 사회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일정부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인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이주하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지에 정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서소개 인쇄하기
머리말 / 06

제1장 화교의 동남아시아 이민과 정착 / 17
■  시작하는 말 / 18
■ 화인이민 / 10
■ 화인의 정착과정 / 29
■ 화교 화인의 분포 현황 / 35
■ 맺는 말 / 39

제2장 화교의 사유방식과 문화적 연원 / 45
■ 시작하는 말 / 46
■ 농경문화와 가족제도 / 48
■ 유가윤리와 중화사상 / 54
■ 화교의 연고문화 / 60
■ 맺는 말 / 67

제3장 말레이반도 지역의 화교 이주 과정 / 73
■ 시작하는 말 / 74
■ 말라카해협 식민지 개척 / 75
■ 말레이시아 지역의 화인 이민 / 82
■ 싱가포르 지역의 화인 이민 / 89
■ 맺는 말 / 93

제4장  동남아시아 화교사회의 조직문화 기반 / 97
■ 시작하는 말 / 98
■ 중국인에게 있어서 사단 / 99
■ 화교사회에서의 사단조직의 종류와 기능 / 103
■ 화교사단의 조직 현황 / 114
■ 맺는 말 / 121

제5장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교조직 형성 / 127
■ 시작하는 말 / 128
■ 방언과 지연으로 연결된 공사 / 131
■ 제사로 연결된 공사 / 137
■ 맺는 말 / 150

제6장 말레이시아 지역의 화교조직 / 155
■ 시작하는 말 / 156
■ 동남아시아 화교조직의 일반적인 특성 / 157
■ 말레이시아 지역 화교조직의 특징 / 165
■ 맺는 말 / 176

제7장 싱가포르 지역의 화교조직 / 181
■ 시작하는 말 / 182
■ 싱가포르 지역의 회당공사 발전기 / 184
■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의 충돌 / 189
■ 대규모 폭동의 발생과 그 영향 / 195
■ 맺는 말 / 205

제8장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지역의 화교조직 지도자 / 211
■ 시작하는 말 / 212
■ 19세기 전반기의 인물들 / 214
■ 19세기 후반기의 인물들 / 221
■ 맺는 말 / 231

제9장 태국 지역의 화교 이주과정 / 237
■ 시작하는 말 / 238
■ 18세기 이전 화인의 태국 이주과정 / 240
■ 18세기 이후 화인의 태국 이주과정 / 249
■ 맺는 말 / 262

제10장 태국 화교의 경제발전 역사 / 269
■ 시작하는 말 / 270
■ 아유타야 왕조시기의 태국의 상황과 화인 / 272
■ 명나라 전기 태국의 조공무역과 화인의 경제적 역할 / 276
■ 명나라 중후기 태국 화인의 경제적 역할 / 285
■ 맺는 말 / 293

제11장 베트남의 화교정책 / 299
■ 시작하는 말 / 300
■ 베트남의 경제개혁과 화인경제 / 302
■ 베트남의 화인문화에 대한 정책 / 310
■ 맺는 말 / 322

제12장 필리핀 화교의 이민 역사 / 329
■ 시작하는 말 / 330
■ 고대 중국과의 교역시기의 필리핀 화교 / 331
■ 스페인 통치 시기의 필리핀 화교 / 335
■ 미국 통치 시기의 필리핀 화교 / 345
■ 맺는 말 / 351

제13장 화교기업의 세계네트워크와 경제 / 357
■ 시작하는 말 / 358
■ 화상 네트워크의 개념에 대한 분석 / 360
■ 화상 네트워크의 형성과 발전 / 365
■ 화상 네트워크의 종류와 특징 / 373
■ 맺는 말 / 379


참고문헌 / 384
찾아보기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