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고령자의 낙상 사고가 많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7월까지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버스·지하철 관련 안전사고는 총 1034건으로 2022년 125건에서 지난해에는 460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지역 시내버스(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시내버스혁신추진단 제공
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 생애주기별로 버스·지하철 안전사고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 고령자
손오공게임 의 안전사고 발생이 인구 10만명당 5.0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두 번째로 발생 빈도가 높은 장년층(10만명당 1.59건)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버스·지하철에서 발생한 고령자 안전사고 581건의 원인을 살펴보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낙상'이 531건(91.4%)으로 대부분이었고, '눌림·끼임'
사이다쿨바다이야기게임 22건(3.8%), '부딪힘' 15건(2.6%)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부상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233건(40.1%)으로 가장 많았고, '둔부·다리·발' 148건(25.5%), '몸통' 116건(20.0%) 순이었다.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버스·지하철에서의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승·하차 시 차량이 완전히 멈추었는지
바다이야기합법 확인할 것 ▲ 승차 후 반드시 손잡이를 잡아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할 것 ▲ 하차하기 전 주변이 안전한지 확인할 것 등을 당부했다.
또 고령자의 안전 인식 확산을 위해 상황별 낙상 위험과 예방 방안을 담은 홍보 영상을 제작해 한국소비자원 누리집과 '보e다' 등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해 배포했다. 버스 내부 매체에는 낙상 예방 영상을 송출
바다이야기슬롯 하고 고령자들이 각별히 주의할 수 있도록 했다.
소비자원은 "낙상 사고 시 머리와 얼굴을 다쳐 뇌 손상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면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뼈와 근육이 약해진 고령자는 작은 사고에도 골절 등의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
바다이야기모바일 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