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도서안내 > 도서안내
 
도서명遇不遇, 운명인가 선택인가
저자오만종
분류[인문]
발행일2022-02-28 판형신국판
ISBN978-89-6849-858-9 (93820)
페이지276 정가15,000원
네티즌평가 |
(총 0 명 참여)   도서정보 인쇄하기 590
  중국문학사에서 우불우 주제는 지식인들의 삶의 방식과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대를 관통하며 다루어지고 있다. 遇不遇 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먼저 선진양한시기의 遇不遇 개념에 대한 어원을 논술하고, 중국의 신화적 인물 속에 君臣 間 遇不遇 관계의 전형적 틀이 스며있음을 드러내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선진양한시기의 문헌에 산재되어 있는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세상에 드러나고 있는 죽간의 기록에 보이는 관련 내용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중국 문명의 초기에 遇不遇 개념이 어떤 논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논증하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선진양한시기 遇不遇 개념의 근원을 추적하려고 시도하였다.
선진양한시기의 인물에 대한 연구는 처음부터 遇不遇 시각에서 이들의 삶을 조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역사 인물들의 연구는 그들 인생의 부침 속에 굴곡진 여정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며, 그 가운데 선택과 운명의 그림자가 겹쳐져 드리운다. 선진양한시기의 인물 중 비교적 전형적인 모델을 중심으로 그들 삶의 궤적과 후인들의 평가를 통해 그들의 遇不遇 상황이 운명인지 선택인지 독자들로 하여금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다룬 인물들은 먼저 夏商周의 三代를 멸망시켰던 后妃 妺喜, 妲己, 褒姒, 商湯의 재상이 된 伊尹, 개국공신의 전형인 韓信, 희대의 협객 荊軻, 왕위를 찬탈한 王莽 등이다.
아울러, 동 시기의 작품에 관한 연구는 충신의 전형인 屈原의 작품과 漢人들의 그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漢初에 지어진 不遇 주제 관련 작품들, 예를 들면 〈弔屈原賦〉(賈誼), 〈士不遇賦〉(董仲舒), 〈悲士不遇賦〉(司馬遷), 〈答客難〉(東方朔) 등을 중심으로 당시 문인들의 不遇意識에 대하여 논구하였다. 중국문명의 초기에 遇不遇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러한 의식이 지식인들의 삶과 문학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의 연구는 중국 역사 속에서 지식인들이 出仕와 隱逸을 어떻게 선택하고 운명적으로 받아들였는가를 살펴보는데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를 아는 이는 遇‧不遇의 처지에서 적극적으로 취사선택을 하겠지만, 자기를 알지 못하는 이는 우불우의 상황을 운명으로 여기고 받아들이는 소극적 태도를 취할 것이다. 중국의 고대인들은 어떻게 행동했을까? 이 책은 이 문제에 대해 질문하고 답하려고 시도하였다.
도서소개 인쇄하기
머리말 / 004

遇不遇 개념의 형성
제1장 遇不遇 개념의 淵源과 神話的 形象 / 11
1. 遇字의 어원 / 16
2. 遇字의 用例 / 20
3. 遇不遇의 神話的 形象 / 31
4. 맺는 말 / 38
제2장 遇不遇 개념의 논의 과정 / 41
1. 《논어》의 陳蔡之間 고사 / 43
2. 《墨子》와 《莊子》 / 46
3. 《荀子》와 〈窮達以時〉 / 53
4. 《韓詩外傳》 / 62
5. 《論衡‧逢遇》 / 66
6. 맺는 말 / 71

遇不遇와 人物
제3장 妺喜, 妲己, 褒姒 / 75
1. 妺喜 / 80
2. 妲己 / 86
3. 褒姒 / 91
4. 맺는 말 / 99
제4장 伊尹 / 103
1. 탄생과 성장 / 107
2. 君臣會同 / 111
3. 夏나라에서의 활동 / 123
4. 맺는 말 / 130
제5장 荊軻 / 133
1. 초기 문헌 기록에 보이는 형가 형상 / 135
2. 후대 시가 속에 드러난 형가 형상 / 143
3. 맺는 말 / 158
제6장 韓信 / 161
1. 忍辱과 報恩의 형상 / 165
2. 將帥로서의 형상 / 171
3. 兎死狗烹의 비극적 형상 / 178
4. 맺는 말 / 186
제7장 王莽 / 191
1. 堯・舜의 禪讓 / 193
2. 噲王과 子之의 선양 / 197
3. 王莽의 禪讓 / 202
4. 맺는 말 / 213

遇不遇와 문학작품
제8장 屈原의 작품 / 217
1. 屈原의 〈離騷〉 / 224
2. 漢代 屈原의 評價 / 229
3. 漢代 굴원 관련 문학작품 / 235
4. 맺는 말 / 242
제9장 不遇主題 賦 / 245
1. 賈誼 〈弔屈原賦〉 / 248
2. 董仲舒 〈士不遇赋〉 / 252
3. 司馬遷 〈悲士不遇赋〉 / 256
4. 東方朔 〈答客難〉 / 260
5. 맺는 말 / 264

참고문헌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