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도서안내 > 인문
 
도서명노사학파 문인들의 삶과 사유 2
저자박학래ㆍ이향준ㆍ조우진ㆍ김새미오ㆍ양순자ㆍ이형성
분류[인문]
발행일2022-06-25 판형신국판
ISBN978-89-6849-895-4 (93800)
페이지350 정가17,000원
네티즌평가 |
(총 0 명 참여)   도서정보 인쇄하기 849
  이 책은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의 ‘근대호남유학연구단’에서 발간하는 근대호남유학연구 총서 3으로서 노사학 계승성을 연구한 논문을 모은 것이다. 본 연구단은 2019년 9월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근대호남유학을 대표하는 19세기 대표적인 성리학자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과 그의 학문을 계승한 직전, 삼전, 사전의 문도 8천여 명으로 구성된 노사학파를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노사학파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 상태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제일 먼저 선택한 작업은 인물 연구와 저술 정리였다. 인물 연구는 기정진을 비롯한 노사학파 전체가 그 대상이고, 저술 정리는 학파의 문인들이 남긴 유ㆍ무형의 문화유산 정리 및 문집 해제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로서 2021년에 총서 2권과 저・역서라는 2권이 각각 간행되었다. 이러한 정신적 유산 정리는 광복 이후 유교, 또는 유학자의 학문 곧 성리학에 대한 현대인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되기에 꾸준히 진행할 것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기정진과 그의 문인들을 탐구한 것이다. 이 책은 『노사학파 문인들의 삶과 사유』를 이어 노사학파에서 7인의 직전 문인 및 지역사회에서의 노사학 계승성을 탐구한 연구 논문을 모은 것이다. 수록된 직전문인은 각각 야은(野隱) 박정규(朴廷奎, 1829∼1898),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3), 소백(小栢) 안달삼(安達三, 1837∼1886),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1846∼1916), 율수재(聿修齋) 박해량(朴海量, 1850∼1886), 보산(普山) 기우승(奇宇承, 1858∼1907) 등이다. 이 책에 수록된 순서에 따라 논문의 출처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박학래,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강학 활동과 노사학파(蘆沙學派)의 확대」, 『동양고전연구』 권84호, 동양고전학회, 2021년.
 이향준, 「기우승(奇宇承)의 「외필문목(猥筆問目)」 비판-「박외필문목변(駁猥筆問目辨)」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권47호, 율곡학회, 2022년.
 조우진, 「야은(野隱) 박정규(朴廷奎)의 삶과 도설(圖說)로 보는 가정교육」, 『호남학』 권70호, 호남학연구원, 2021년.
 이향준, 「노사(蘆沙)와 화서(華西)의 만남-박해량(朴海量)의 「해상일기(海上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권72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년.
 김새미오, 「소백(小栢) 안달삼(安達三)의 교유와 그 의미」, 『탐라문화』 권51호, 탐라문화연구원, 2016년.
 조우진, 「난와(難窩) 오계수(吳繼洙)의 성리설과 실천적 의리정신」, 『동양고전연구』 권86호, 동양고전학회, 2022년.
 양순자, 「외필(猥筆)」의 사상적 단초를 찾아서-기정진(奇正鎭)과 조성가(趙性家)의 문답을 중심으로-」, 『공자학』 권43호, 한국공자학회, 2021년.
 이형성, 「순창지역의 노사학파(蘆沙學派) 문인 조사와 계승성 고찰」, 『동양문화연구』 제36집,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년.

첫 번째에서 일곱 번째까지 논문은 기정진의 직전 문인을 다루고 있고 마지막 논문은 전북 순창에 분포된 노사학파 문인 및 계승성에 관한 것이다. 직전 문인의 서술은 따로 생몰순서에 의거하지 않았고, 논문의 내용들은 일관된 편집 원칙에 의거해서 일원화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 본문은 모두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한자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괄호나 꺽쇠를 통해 병기했다. 글의 제목이나 인명의 표기는 가급적이면 본명으로 통일하였다. 이 때문에 원래 논문의 제목에 포함된 호는 이 책의 장과 절에서는 대부분 삭제되었고, 본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대로 둔 경우도 더러 있다. 이런 부분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원문의 표기법을 존중했다.
도서소개 인쇄하기
근대호남유학연구 총서를 내면서 / 004
해제 / 006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강학 활동과 노사학파(蘆沙學派)의 확대|박학래 / 23
 들어가는 말 / 23
 지속적인 강학 활동과 直傳 제자의 배출 / 27
  ■ 독서종자(讀書種子) 양성을 위한 강학 활동의 전개 / 27
  ■ 자유로운 강학 분위기와 학파 결집 주도 / 37
 기정진의 직전 제자 중 최대 문인의 배출 / 44
 직전 제자의 학문 활동과 노사학의 계승 / 50
  ■ 『송사집』의 간행을 비롯한 현양 사업의 전개 / 50
  ■ 노사학의 계승과 다양한 학문 활동의 전개 / 54
  ■ 의병 및 항일운동으로 이어진 실천 지향적 면모 / 63
 맺음말 / 68

기우승(奇宇承)의 「외필문목(猥筆問目)」 비판|이향준 / 71
-「박외필문목변(駁猥筆問目辨)」을 중심으로-
 들어가면서 / 71
 기우승의 생애와 사승 / 74
 「독기노사외필」 1・2의 등장 / 81
 「독기노사외필」 1・2의 서술 구조 / 86
 한유와 하우식의 「외필」 비판 / 89
 「외필문목」의 재구성 / 97
 기우승의 「외필문목」 비판 1 / 100
 기우승의 「외필문목」 비판 2 / 106
 나가면서 / 111

야은(野隱) 박정규(朴廷奎)의 삶과 도설(圖說)로 보는 가정교육|조우진 / 113
 들어가면서 / 113
 안빈낙도(安貧樂道)와 은일(隱逸) / 116
 가정교육의 지침 / 122
  ■ 「약선율옹요결십조면아자(約選栗翁要訣十條勉兒子)」 / 122
  ■ 「지신도설(持身圖說)」 / 128
  ■ 「완심도설(玩心圖說)」 / 133
 나가면서 / 139

노사(蘆沙)와 화서(華西)의 만남|이향준 / 142
-박해량(朴海量)의 「해상일기(海上日記)」를 중심으로-
 들어가면서 / 142
 생애와 사승 / 145
 해상일기: 1차 여행 / 149
 해상일기: 2차 여행 / 155
 해상일기: 3차 여행 / 160
 명덕설 토론 1: 최익현과 박해량을 중심으로 / 163
 명덕설 토론 2: 박해량과 기정진을 중심으로 / 168
 나가면서 / 175

소백(小栢) 안달삼(安達三)의 교유와 그 의미|김새미오 / 178
 들어가며 / 178
 소백 안달삼의 삶과 『소백처사유고』 / 180
 소백 안달삼과 노사 기정진 / 190
 소백 안달삼과 면암 최익현 / 200
 결론을 대신하며 / 205

난와(難窩) 오계수(吳繼洙)의 성리설과 실천적 의리정신|조우진 / 207
 들어가면서 / 207
 선난후획(先難後獲)의 삶 / 210
 성리설에 대한 재구성 / 215
  ■ 이기설(理氣說) / 215
  ■ 심성론(心性情) / 221
 실천적 의리정신 / 226
  ■ 인의(仁義)의 실천원리 / 226
  ■ 불의에 저항하는 의리정신 / 231
 나가면서 / 235

「외필(猥筆)」의 사상적 단초를 찾아서|양순자 / 238
-기정진(奇正鎭)과 조성가(趙性家)의 문답을 중심으로-
서론 / 238
태극과 동정 / 242
천명(天命)의 유행 / 250
소승지기(所乘之機) / 258
결론 / 267

순창지역의 노사학파(蘆沙學派) 문인 조사와 계승성 고찰|이형성 / 271
 들어가는 말 / 271
 순창의 유학 전래와 전승 / 275
 순창지역 노사학파 전승 문인 조사와 활동 / 280
 순창의 무양서원과 노사학 계승 / 293
 맺는 말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