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도서안내 > 도서안내
 
도서명국가와 도시
저자김준우
분류[문화관광부우수학술교양도서]
발행일2007-12-31 판형신국판
ISBN 978-89-7598-642-0 (93330)
페이지321 정가12,000원
네티즌평가 |
(총 0 명 참여)   도서정보 인쇄하기 1,190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본서는 일방적인 세계화 담론에서 벗어나 국가가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연구대상 범위는 한국도서에 중점을 두지만 한편으로는 세계의 여러 도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계도시와 국가의 성격을 다룰 때는 뉴욕, 도쿄, 서울이 비교된다. 국가 성격과 경제적 격차를 다룰 때는 싱가포르, 필리핀, 한국이 비교되는 형식을 취한다.
  주요내용은 국가의 정의를 학술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국국가의 성격, 국가 성격에 따른 세계화와 도시의 경제발전 관계 분석, 도시문화 도시간 격차 등을 비교 분석하여 서술하였다.
  본서는 도시정치, 행정, 지역개발, 도시계획 등의 영역에서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시발전 사례 등은 도시정책 담당자들에게 현실적인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도서소개 인쇄하기
책을 내면서 005

1부 도시와 국가의 교차점
제1장 도시에서 본 국가의 역할 018
1.1. 국가의 중요성 018
1.2. 국가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첫 번째 시각 024
1.3. 국가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두 번째 시각 028
1.4. 국가중심적 입장의 반론 033

제2장 국가의 이해 038
2.1. 국가와 사회 039
2.2. 강한 국가와 약한 국가 044
2.2.1. 사회적 계급 044
2.2.2. 역사문화적 맥락 048
2.2.3. 국가조직 049
2.3. 발전국가와 약탈국가: 싱가포르와 필리핀 054
2.4. 발전국가와 ‘발전(?)’ 057
2.4.1. 무기력한 시민사회 059
2.4.2. 다문화주의와 국가통제 062
2.5. 지역단위 국가 069

제3장 세계화와 세계도시 073
3.1. 세계화와 도시에서의 명암 075
3.2. 세계도시 가설 078
3.3. 세계화와 국가 083
3.4. 세계화와 문화 087

2부 다른 국가와 다른 도시화
제4장 발전국가와 약탈국가: 싱가포르와 마닐라의 도시화 096
4.1. 동남아 도시화의 맥락 096
4.2. 싱가포르에 대한 소개 098
4.3. 마닐라에 대한 소개 101
4.4. 싱가포르의 ‘발전국가 도시화’ 105
4.4.1. 국가의 대규모 토지소유 내지 토지수용의 용이성 105
4.4.2. 정부주도의 도시화 108
4.4.3. 부동산 투기의 억제 111
4.4.4. 미미한 공간적 불평등 113
4.5. 비교의 의미와 한국에의 정책적 함의 128

제5장 인구와 경제기능의 분포 132
5.1. 가정 1: 경제주의적 가정 133
5.2. 가정 2: 도시종주성 각 차원의 비례성 가정 137
5.3. 분석단위 139
5.4. 가정들과 관련된 문제점 141
5.5. 국가형태에 따른 도시화 분류 146

제6장 싱가포르와 부산의 “선택되지 않은 지역문화” 148
6.1. 지역문화의 관광자원화에 대한 기존의 논의 149
6.2. 부산 역사의 이해 154
6.3. 싱가포르의 실용주의적 관광정책 158
6.3.1. “무에서 유”: 지역실정과 관련없는 주제의 관광산업화 159
6.3.2. 문화의 선택에서 “상업성” 162
6.3.3. 수요에 의해 결정되는 관광정책 164
6.3.4. 공간적집약적 관광정책 167

6.4. 인종집단과 관광: 싱가포르의 예 170
6.4.1. 인종문제와 관광 172
6.4.2. 싱가포르의 다인종주의 관광 175
6.5. 관광자원화되지 않는 지역문화: ‘싱가포르의 국가건설이념에 벗어나는 문화’ 180
6.6. 부산의 선택 183
6.7. 정책적 함의 193

제7장 세계화와 국가의 반응: 송도경제자유구역 197
7.1. 송도경제자유구역의 소개 198
7.2. 세계화와 국가: 송도의 경우 203
7.2.1. 송도와 국가 조직의 이익 211
7.3 세계화가 국가에 미친 영향 215
7.4. 송도가 주는 함의 220

제8장 지역단위에서의 국가: 내생적 발전과 정책 223
8.1. 지역내생적 발전의 가능성 224
8.2. 지역과 지역발전 225
8.3.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의 개발 227
8.3.1.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 238
8.4. 연구방법 243
8.5. 기존 지역 논의와의 관련성 246
8.6. 조사결과의 분석 251
8.6.1. 연구인력에서의 지역격차 251
8.6.2. 순수 연구재정에서의 지역격차 255
8.6.3. 연구자에 대한 처우에서의 지역격차 260
8.6.4. 지역사회와의 관계에서의 격차 261
8.7. 정책개발과 지역단위 국가의 책임 263
8.8. 지방정부 정책개발 노력의 필요성 267

3부 의미를 찾아서
제9장 한국에서의 도시와 국가: 현안 270
9.1. 지배구조 270
9.2. 지역혁신체제 277
9.3. 지역간의 갈등 281

제10장 한국에서의 도시와 국가: 조망 284
10.1. 창의성 285
10.2. 부의 집중과 편중 286
10.3. 지배구조와 시민 287

문헌 289